우리는 성공을 원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잘 될 수 있을지 고민합니다. 세상 사람 모두가 원하지만 몇몇만 성공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나는 걸까 고민해 보고 알아보았습니다. 성공을 한 사람들에게는 몇 가지 공통적인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성공을 위한 6가지 마음가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조급해하지 않기
- 성공한 사람들은 쉬이 조급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담대해집니다. 그러기 위해 노력합니다. 의도적으로 본인의 마음가짐을 다잡으려 노력합니다.
생각은 우리의 몸 밖으로 표출됩니다. 조급한 마음은 곧잘 밖으로 새어 나오며 일을 그르칠 수 있다는 사실을 성공한 사람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또는 급해졌을 때조차 느긋하게 생각함으로써 여유롭게 행동합니다. 성공하기 위한 마음가짐의 첫 번째, 조급해하지 않는 것입니다.
2. 될 사람은 된다
- 될 사람은 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생각이 좋은 이유 2가지를 말씀드리겠습니다.
2-1. 어차피 바뀌지 않는 상황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다.
- 보통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일들은 내 뜻대로 되지 않는 일들이 훨씬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왜 안 될까 생각하는 것보다 어차피 될 놈은 된다는 생각은 스트레스를 줄여주어 다른 일들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해 줍니다.
2-2. 빠르게 현재를 받아들이면서 또 다른 해결책을 모색한다.
- '될 사람은 된다'는 생각은 단순히 자조적인 생각이 아닙니다. 적어도 성공을 위해 달려가는 사람에게 있어 이 문구는 잠시 쉬어가도 된다는 마음을 들게 해 주며 무엇보다 '나는 성공한다'는 생각을 더욱 뒷받침해 줍니다. 이미 성공할 사람에게 현재를 더 빠르게 받아들이게 해 주면서 자연스레 내 머리가 더 좋은 해결책을 찾게 도와줍니다.
3. 노력하기로 마음먹기
- 노력한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하는 건 아니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무조건 노력을 했습니다.
어떤 이는 이렇게 얘기하실 수도 있습니다.
'옆집의 누구는 집이 잘 살아서, 부자라서 탱자탱자 놀면서 이미 성공했는데'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선대 조상이 반드시 노력했습니다. 바뀌지 않는 우리 핏줄을 원망하지 말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건 어떨까요. 더 생산적인 걸 생각하고 시도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4. 이미 가진 것에 감사하기
- 성공한 사람들은 하루 삼시 세 끼를 우리보다 훨씬 비싼 식재료의 음식을 먹을까요? 아닙니다. 우리는 먹는 양이 한정적입니다. 사람이라면 먹는 양이 정해져 있고 아무리 비싼 것도 3개월이면 싫증이 난다고 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이미 그걸 맛을 봐 봤기에 그렇게 생각하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도 의도적으로 그렇게 생각해 보자는 겁니다. 이미 맛을 봐 본 듯, 생각하는 것입니다. 많은 자기 계발서에서, 이미 성공한 사람들이 하나같이 얘기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가진 것에 감사하고, 그것을 통해 하나씩 성공해 나가는 것입니다.
5. 어떤 일이 일어난 '이유'를 찾지 말고 어떻게든 '좋게 해석'하기
- 우리는 무슨 일이든 벌어졌을 때 왜 그랬을까 '이유'를 찾는 것을 좋아합니다. 더불어 따라오는 걱정은 덤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모든 일을 어떻게든 좋게 해석할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것입니다. 출근하면서 똥을 밟을 경우엔 '아침부터 재수 없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 그런 마음이 순간 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기서 그치지 않고 '그래도 똥을 밟았으니까 복이 따라 들어올 수도 있겠다'며 '좋게 해석'합니다.
저 또한 어떻게든 좋게 해석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5년 전만 해도 회사도 얼마 다니지 않아 모든 게 힘들고 부정적으로 보기 바빴습니다. 하지만 책을 꾸준히 읽고 좋게 해석하려고 노력하다 보니 꼭 성공할 것 같은 기분이 계속 듭니다. 몇 년 전과 비교한다면 분명 저도 성공해 있습니다.
평범한 저를 통해 조금 더 힘을 내보시기를 바랍니다.
6. 나만 잘하면 된다.
- 성공한 사람들은 하나같이 얘기합니다. 나만 잘하면 되는 게임이라고 말입니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기대기'를 좋아합니다. 여기서 '기대기'는 의지하는 것과 탓하는 것 모두를 의미합니다.
힘들 때 누군가에게 의지하거나 잘 안 풀릴 때 다른 이를 탓하는 것 모두 인간의 본성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기대는 것'보다는 '어떻게 하면 내가 더 잘할 수 있을까'에 집중합니다. 즉, 나만 잘하면 된다는 마음가짐을 깔고 있는 것입니다.
평소에 사람들에게 존경받고 박수를 받는 사람들을 잘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사람의 후광을 통해 성공한 '듯' 보이는 사람이 아닙니다. 누굴 탓할 사람은 더더욱 아닙니다. 지금 어떤 일에 막혀있으시다면 이렇게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나만 잘하면 됩니다. 누굴 원망하는 데 좋지 않은 기운을 내지 마시기 바랍니다.'
'마음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이야기 2. 리뷰 (0) | 2023.12.18 |
---|---|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이야기 1. 리뷰 (0) | 2023.12.17 |
힘들 때 알아야 할 3가지 (0) | 2023.11.28 |
자존심 바로 내려 놓는 법 2가지 (0) | 2023.10.29 |
시간을 늘리는 나만의 방법 3가지 (0) | 2023.10.22 |